검진 용어 풀이
건강검진 결과지에는 생소한 용어와 약어가 많이 등장해 이해하기 어렵다는 분들이 많습니다.
이 글에서는 건강검진에서 자주 나오는 주요 용어와 약어, 의미와 판정 기준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했습니다.
시니어를 비롯해 건강검진을 처음 받는 분들도 쉽게 결과를 해석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.
2025년 기준 최신 검진 용어 정보를 담았습니다.
결과지 기본 용어
참고치(Reference Range), 정상(Normal), 주의(Borderline), 질환의심(Suspect), 양성/음성(Positive/Negative) 등 판정 관련 용어가 있습니다.
‘↑’, ‘↓’는 정상 범위보다 높거나 낮다는 의미이고, ‘불검출’은 검사 결과가 나오지 않았음을 뜻합니다.
결과 해석 시 용어와 기호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혈액검사 용어
- AST·ALT: 간 기능 수치를 의미하며, 높으면 간질환 가능성을 시사합니다.
- GGT: 간 손상, 알코올성 질환 지표입니다.
- HbA1c: 당화혈색소, 최근 2~3개월간 혈당 조절 정도를 보여줍니다.
- LDL·HDL: 나쁜/좋은 콜레스테롤, 심혈관 질환과 연관 있습니다.
- WBC/RBC: 백혈구/적혈구 수치로, 감염, 빈혈 등 판정에 활용됩니다.
기타 검사 용어
- BUN·Creatinine: 신장(콩팥) 기능 지표입니다.
- UA(요분석): 소변 내 단백질, 혈뇨, 당 검출 등 신장·대사질환 검사입니다.
- ECG(EKG): 심전도, 심장 이상 여부 확인에 쓰입니다.
- Chest X-ray: 흉부X선 촬영, 폐질환 등 진단에 사용됩니다.
- PSA: 전립선암 선별 검사(남성), 특정 연령 이상 대상입니다.
판정 기준 이해
각 용어별로 ‘정상’, ‘주의’, ‘이상소견’ 등으로 판정이 나올 수 있습니다.
결과에 따라 추가 정밀검진이나 상담이 필요할 수 있으니, 혼동되는 용어는 반드시 의료진에게 문의하세요.
참고치(정상 범위)와 내 수치를 비교해 보는 습관이 중요합니다.
핵심정리
건강검진 결과에서 자주 나오는 용어와 약어는 판정과 해석에 매우 중요합니다.
생소한 용어는 반드시 의미를 확인하고, 이상 소견 시 전문가 상담을 받아야 합니다.
자주 묻는 질문
Q1 : AST·ALT는 무엇인가요?
A1 : 간 기능을 나타내는 수치로, 높으면 간질환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.
Q2 : HbA1c의 의미는?
A2 : 최근 2~3개월간 혈당 평균치를 보여주는 당화혈색소 수치입니다.
Q3 : 정상 범위는 어디서 확인하나요?
A3 : 결과지 내 참고치(Reference Range)를 확인하면 됩니다.
Q4 : 양성/음성의 차이는?
A4 : 양성은 해당 항목이 ‘검출’, 음성은 ‘불검출’ 또는 정상임을 의미합니다.
Q5 : 용어가 어려울 땐 어떻게 하나요?
A5 : 의료진 또는 검진기관에 직접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.
※ 이 글은 독자 여러분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된 콘텐츠입니다. 일부 내용은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, 참고용으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.